

제목 | 전씨중앙종친회, 제43회 백제대제(百濟大祭) 참례 | |||
작성자 | 관리자 [2025-04-17 23:35:29] | |||
첨부파일 |
첨부된파일갯수 : 0개 |
|||
전씨중앙종친회, 제43회 백제대제(百濟大祭) 참례 전남표 기자
제례봉행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씨(全氏)중앙종친회(회장 전종득)는 지난 4월15일(월) 오전 11시 세종특별자치시 누리로 96 아침 뜰 그린공원 원형광장 특설 제단에서 봉행한 제43회 백제대제(百濟大祭) 제례에 참례했다. 백제대제 봉행은 세종문화원 주관하고 세종향토사연구소 후원하는 제43회 백제대제에는 세종특별자치시 김하균 행정부시장, 세종특별자치시의회 김효숙 부의장 및 의원, 대전광역시 서구의회 전명자 의원, 세종특별자치시 최교진 교육감, 세종문화원 임창철 원장 및 문화원 관계자, 세종특별자치시 관계자 및 시민, 전씨중앙종친회 전종득 회장, 정선전씨대종회 전오근 회장, 전상환 부회장, 전동욱 사무국장, 전씨 18파 종인(18명) 등 100여 명이 제43회 백제대제 제례에 참례했다. 제43회 백제대제는 ▶유래봉독 ▶거제선언(擧祭宣言) ▶석불비상 시납 ▶초헌관 점시 ▶강신례 ▶초헌례 ▶축문 낭독 ▶아헌례 ▶종헌례 ▶추도사 낭독 ▶내빈, 종친, 일반인 분향 ▶참례자 4배 ▶음복례 ▶철변두 ▶망예례 ▶종제 선언 ▶헌화 공연 순으로 이어졌다. 제43회 백제대제 헌관은 ▷초헌관 세종특별자치시 김하균 행정부시장 ▷아헌관 세종특별자치시의회 김효숙 부의장 ▷종헌관 세종시 최교진 교육감이 맡아 예를 다했다. 제집사는 ▷집례 이준일 위원 ▷대축 세종향토사연구소 배정수 소장 ▷알자 세종향토사연구소 김원묵 위원 ▷봉작 전씨 중앙종친회 전동욱 사무국장 ▷전작 전씨 천안파 종친회 전창현 사무국장 ▷사준 전씨 중앙종친회 전인성 이사 ▷제관 김진현, 송유석 위원이 각각 맡아 복무했다. 제43회 백제대제 집례 이준일 위원의 창홀로 진행됐다. 먼저 세종문화원 임창철 원장의 백제대제 유래 봉독을 마치고 집례 이준일 위원의 거제 선언 및 석불 비상을 시납하는 순으로 진행되었다. 백제대제 봉행은 ▷초헌관이 예찬을 살피는 점시 ▷향을 피우는 강신례 ▷초헌관이 첫 술잔을 헌작하는 초헌례 ▷축문을 낭독하는 독축 ▷아헌관이 두 번째 술잔을 헌작하는 아헌례 ▷종헌관이 세 번째 술잔을 헌작하는 종헌례 순으로 봉행 됐다. 이어서 초헌관의 음복례와 변두를 거두는 철변두, 축문을 불사르는 망예례를 끝으로 모든 예를 마쳤다. 참석 내빈 분향 및 헌작은 세종시문화원 임창철 원장, 세종시의회 의원 일동, 세종시 각 기관단체장, 전씨중앙종친회 회장 및 수석부회장, 전씨천안파종친회 회장 및 회원, 세종시문화원 이사와 고문, 향토사연구소 회원, 일반인 분향 순으로 이어졌다. 백제대제 기원은 계유년(癸酉年) 673년 4월15일 백제 유민들에 의하여 석불 비상 8개를 조성하여 비암사를 짓고 시납하여, 백제 국왕 대신과 칠세부모를 위한 제를 올리는데 기원하고 있다. 660년 백제가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하고, 백제의 유민들은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일본에 가 있던 왕자 풍을 왕으로 맞이해 복신, 도침을 중심으로 세종시 일대 산성에서 피에 어린 구국 항전을 했지만 3년여 만에 나당연합군(신라 28만, 당나라 40만)에 의하여 부흥 운동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나라는 빼앗겼지만 백제의 역대 국왕과 충신, 칠세부모를 위해 673년 전씨(全氏)를 중심으로 불상을 만들고, 절을 지어 매년 4월 15일(음력)에 제(祭)를 지내 온 것으로 추정하나, 그 후에는 제(祭)를 지내오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 전의 고적보존회가 향토 개발 사업으로 이를 재현하기 위해 1983년 4월 15일 종파를 초월해 전 군민의 이름으로 제(祭)를 올리기 시작했으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당시에는 이것을 “백제충령제”라 이름을 지어 거행해 오다 1986년 황수영 박사가 부여에서 지내는 “백제대왕제”는 성왕에서 의자왕까지 6대 왕의 제(祭)를 올리지만, 연기에서는 온조왕 이래 역대 왕 및 충신에 대한 제(祭)를 올리기 때문에 “백제대제”를 이곳에서 지내야 한다는 발표에 의하여 “백제대제”라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00년부터는 당사(백제 말)의 모습을 재현하려고 노력했으며, 세종시뿐만 아니라 백제권에서는 유일한 “백제대제”임을 알리는 행사 또한 병행하고 있다. 2002년에는 4월14일 “백제대제와 비암사”를 주제로 한 학술 세미나와 전야 행사로 탑돌이를 했으며, 4월15일에 백제대제를 지냈고, 모형 석불비상을 제작하여 이를 시납하는 군사 행렬을 웅장하게 재현한 바 있다. 전씨중앙종친회 종인 일행은 모든 행사를 마치고 세종시 시내 음식점에서 오찬을 했다.
[ 출처 ] 유교신문 |